반응형
1. 클라우드 기초
Before Cloud computing
과거에는 인터넷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호스팅에 필요한 모든것을 직접 구축
- 데이터 센터(물리적 공간)
- 서버, 저장소
- 네트워크방화벽,보안
- 운영체제,기타 개발도구
- 전기,온도,습도관리
- 운영/관리 인력
서버를 직접 구축하고 운영하는 자원과 인력 비용 이 크고 운영 상황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워짐
이를 해결하고자 IDC 등장!
IDC란? Internet Data Center의 줄임말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공간, 네트워크, 유지 보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하지만 서버임대를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IDC의 서버 임대는 계약을 통해 일정 기간 임대를 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는 구조
Backgrounds of Cloud computing
인터넷 사용자가 크게 증가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서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서버를 증설하기 원하는 온디맨드 수요 증가
Cloud Computing
클라우드라고 부르기도하며 "인터넷 기반 컴퓨팅의 일종"
aws란: 클라우드 컴퓨팅을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에서 컴퓨팅 파워, DB 저장공간, 애플리케이션 및 기타 IT자원을 필요에 따라 인터넷을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것으로 정의
Features of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은 속도, 접근성, 확장성, 생산성, 보안 및 안정성, 측정가능성 등의 장점을 가짐
- 특히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시에 도커와 같은 가상화 기술을 통해 GPU활용과 소프트웨어 설치 및 배포 등의 작업에 비용과 시간 절감
- 속도 , 주문형 셀프 서비스
- 접근성
- 확장성
- 생산성
- 보안,안정성
- 측정가능성
클라우드 컴퓨팅 운용 모델
클라우드 컴퓨팅은 구축 및 배포 유형에 다라 퍼블릭,프라이빗,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세 가지 형태로 구분
퍼블릭
- 서비스 유지를 위한 모든 인프라와 IT기술을 클라우드에서 사용
- AWS,GCP,Azure와 같은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가 IT자원을 소유하고 인터넷을 통해 제공
- IT관리 인력이나 인프라 구축 비용이 없는 경우에 유용
프라이빗
- 고객이 자체 데이터센터에서 직접 클라우드 서비스르르 구축하는 형태
- 내부 계열사나 고객에게만 제공하며 인프라 확충은 쉬우나 IT기술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음
- 보안이 좋고 커스터마이제이션 가능하며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가 IT기술만 패키지 형태로 판매하기도 함
하이브리드
- 고객의 핵심 시스템은 내부에 두면서도 외부의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형태
- IT기술은 클라우드에서 받고 서비스 유지를 위한 인프라는 고객의 것을 혼용
- 퍼블릭의 경제성과 프라이빗의 보안성을 모두 고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모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라 IaaS,PaaS,SaaS 세가지 형태로 구분
- Iaas : 인프라 부분
- PaaS : 플랫폼 부분
- SaaS : 하드웨어,OS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까지 전부 제공
'AI_Bootca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mpy 심화 실습 chap 1 matmul()와 dot()의 차이 (0) | 2022.01.19 |
---|---|
3주차 Day13 Numpy 실습 III (0) | 2022.01.19 |
3주차 Day12 Numpy 실습 II (0) | 2022.01.18 |
3주차 Day11 Numpy 실습 I (0) | 2022.01.17 |
2주차 Day 10 Flask EDA 주말과제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