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 길이
문제 설명
게임 캐릭터를 4가지 명령어를 통해 움직이려 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U: 위쪽으로 한 칸 가기
- D: 아래쪽으로 한 칸 가기
- R: 오른쪽으로 한 칸 가기
- L: 왼쪽으로 한 칸 가기
캐릭터는 좌표평면의 (0, 0) 위치에서 시작합니다. 좌표평면의 경계는 왼쪽 위(-5, 5), 왼쪽 아래(-5, -5), 오른쪽 위(5, 5), 오른쪽 아래(5, -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ULURRDLLU"로 명령했다면
1번 명령어부터 7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8번 명령어부터 9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이때, 우리는 게임 캐릭터가 지나간 길 중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에서 게임 캐릭터가 움직인 길이는 9이지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8, 9번 명령어에서 움직인 길은 2, 3번 명령어에서 이미 거쳐 간 길입니다)
단, 좌표평면의 경계를 넘어가는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예를 들어, "LULLLLLLU"로 명령했다면
1번 명령어부터 6번 명령어대로 움직인 후, 7, 8번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다시 9번 명령어대로 움직입니다.
이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명령어가 매개변수 dirs로 주어질 때, 게임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여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dirs는 string형으로 주어지며, 'U', 'D', 'R', 'L' 이외에 문자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dirs의 길이는 5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dirs | answer |
---|---|
"ULURRDLLU" | 7 |
"LULLLLLLU" | 7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문제 풀이
def solution(dirs):
answer = 0
point_list = []
center_x = 5
center_y = 5
for i in dirs:
if i == "U":
if 0<= center_x <= 10 and 0<= center_y-1 <= 10:
point_list.append((center_x,center_y,center_x,center_y-1)) # 출발 x,y좌표 도착 x,y좌표식으로 저장
point_list.append((center_x,center_y-1,center_x,center_y)) # 도착 x,y좌표 출발 x,y좌표식으로 저장
center_y = center_y -1
else:
center_x = center_x
center_y = center_y
elif i == "D":
if 0<= center_x <= 10 and 0<= center_y+1 <= 10:
point_list.append((center_x,center_y,center_x,center_y+1))
point_list.append((center_x,center_y+1,center_x,center_y))
center_y = center_y +1
else:
center_x = center_x
center_y = center_y
elif i == "R":
if 0<= center_x+1 <= 10 and 0<= center_y <= 10:
point_list.append((center_x,center_y,center_x+1,center_y))
point_list.append((center_x+1,center_y,center_x,center_y))
center_x = center_x +1
else:
center_x = center_x
center_y = center_y
elif i == "L":
if 0<= center_x-1 <= 10 and 0<= center_y <= 10:
point_list.append((center_x,center_y,center_x-1,center_y))
point_list.append((center_x-1,center_y,center_x,center_y))
center_x = center_x -1
else:
center_x = center_x
center_y = center_y
point_list = set(point_list)
answer = len(point_list)//2
return answer
문제 해석
처음에 갈피를 잘 못 잡아서 굉장히 고생했다. 단순 dfs/bfs문제로 접근하여 알고리즘 푸는 도중 첫번째 테스트 케이스에 막혔다. 그 이유는 bfs,dfs는 해당 좌표의 방문 여부를 따라 탐색을 진행하는데 해당 문제는 좌표까지 가는 길을 카운팅 하는 문제였다. 따라서 한바퀴를 돌 때 출발점이 도착점이 되는 순간에 카운팅을 하지 못하는 것이였다. 따라서 해당 문제를 다르게 접근하여 중복 길을 없애는 방식을 택하였다.
처음엔 출발지점과 도착지점만 point_list에 추가하여 진행하였더니 LRL을 2번 인식하는 것이였다. 따라서 출발,도착좌표와 도착,출발 좌표를 동시에 입력한 후 이를 집합으로 변환시켜 중복을 제거하였다.
이후 집합안에는 2개의 길이 있기 때문에 나누기 2를 통하여 값을 얻었다. 해당 문제는 접근 방식을 생각하는데 애를 먹었던 문제였다. 대부분 좌표를 통해 접근하는 문제들이 많았는데 이렇게 경로를 통하여 문제를 풀면서 새로운 방식을 또 배운 것 같다.
'Algorithm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level2] 소수 찾기 - python3 (0) | 2022.08.22 |
---|---|
프로그래머스 [level2] 피로도- python3 (0) | 2022.07.31 |
프로그래머스 [level2] 게임 맵 최단거리 - python3 (0) | 2022.07.28 |
프로그래머스 [level2] 더 맵게 - python3 (0) | 2022.07.24 |
프로그래머스 [level1] 카카오- 신규 아이디 추천- python3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