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Elastic Compute Cloud)란?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대표적인 서비스로 클라우드에서 확장가능 컴퓨팅 용량을 제공합니다. 1세대 클라우드 컴퓨팅으로써 하드웨어에 선투자 할 필요없이 (온프레미스 환경) 더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EC2 인스턴스의 유형에 따라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킹 용량의 여러가지 구성을 제공합니다.
AWS EC2는 IaaS(서비스형 인프라)의 대표 서비스 중 하나로, 직접 사용자가 인프라구축을 하며,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EC2 기능설명
- 인스턴스: 가상 컴퓨팅 환경입니다.
- AMI(Amazon Machine Image): 서버에 필요한 운영체제와 여러 소프트웨어들이 구성딘 상태로 제공되는 템플릿입니다.
- 인스턴스 유형: 인스턴스를 위한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킹 용량의 여러 가지 구성을 제공합니다.
- 보안 그룹: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protocol, port, source IP 범위를 지정하는 방화벽 기능입니다.
- 탄력적 IP: EC2의 IP주소를 고정하여 동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합니다.
- 키 페어: 외부에서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접속 할 때 필요한 보안 키입니다.
EC2 인스턴스 구축하기
해당 서비스에서 인스턴스 시작버튼을 누르며 EC2생성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이후 원하고자 하는 EC2용도에 맞게 이름을 설정합니다. 아무렇게나 지으셔도 됩니다. 다만 가독성을 위해 작성하는 것이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 _ )
이후 AWS EC2 instace의 AMI를 설정합니다. 해당 구성에 따라 ec2 instace의 용량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 구성(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탬플릿을 구성합니다.
이후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합니다. 임의의 실습을 위해 진행 한 것이므로 프리티어 인스턴스를 사용했습니다. 또한 키 페어를 통해 ec2인스턴스에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해당 키는 분실하지 않기 위해 주의해주세요. 초기 인스턴스 설정일 때는 키페어가 생성되지 않았으므로 임의의 키페어를 생성하였습니다.
여기서는 보안 그룹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특정 포트에 대해, 어떤 IP에 대한 접근만을 허용 할 것인지,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지정 해 줄 수 있고, 혹은, 기존에 개인적으로 만들어 놓은 보안 그룹을 선택 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SSH는 22번을 사용 하며, 웹서버는 80, FTP는 443 등을 사용합니다.
이후 스토리지 구성을 진행하고 추가적으로 진행하실 부분이 있으시면 고급설정에서 추가로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이후 위 과정을 다 진행하셨다면 인스턴스 시작을 진행해줍니다.
EC2 서비스에 들어가시면 생성했던 ec2 인스턴스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초기 ec2인스턴스는 탄력적 IP주소가 할당이 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ec2 인스턴스에 탄련적 IP주소를 할당하기 위해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서비스를 눌러 탄력적 IP주소를 할당합니다.
탄력적 IP주소를 생성하였다면 해당 탄력적 IP주소를 클릭 하신 후 작업버튼에서 탄력적 IP연결을 클릭합니다.
원하고자 하는 인스턴스를 선택하여 해당 인스턴스에 탄련적 IP주소를 할당합니다. 이후 ec2인스턴스 정보를 보시면 할당했던 탄력적 IP주소가 적용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 pem key가 있는 위치에서 pem key권한 설정을 진행합니다.
chmod 400 "testkey.pem"
이후 명령어를 통해 퍼블릭 DNS를 사용하여 ec2 인스턴스에 연결합니다.
ssh -i "testkey.pem" ssh 클라이언트 퍼블릭DNS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QuickSight란 ? (2) | 2023.02.03 |
---|---|
AWS Athena란? (0) | 2023.01.05 |
Amazon S3란 ? (0) | 2022.12.27 |
[Amazon Redshift] Redshift 란? (0) | 2022.08.25 |